Api 캐싱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

Spring

Api 캐싱

캐시(Cache) 한 번 처리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소에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. 임시로 데이터를 저장해두고 같은 요청이 왔을 때 해당 저장소에서 바로 읽어와 응답을 해주어 성능과 응답속도를 향상시켜줄 수 있는 기술이다. Api 캐싱 Api를 캐싱한다는게 어떤 느낌일지 아주 쉬운 예시를 통해서 알아보았다. 알고리즘 연습 때문에 요즘 매일 들어가는 프로그래머스 메인페이지이다. 이 페이지 구성을 보면 오늘의 연습문제 목록4개가 있고 신규 오픈 코스 목록이 여러개 나타난다. 이 목록들은 분명 데이터베이스 같은 곳에 어떤 형태로 데이터가 저장되어있을 것이고 클라이언트 요청이 발생했을 때 서버에서 통신하여 그것들을 조회해오고 자바스크립트 같은 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 페이지를 구성하기 위해 적절하게 사용되었을 것이다...

2022.07.14 게시됨

[SpringBoot] Spring Data Redis 를 사용해보자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

Spring

[SpringBoot] Spring Data Redis 를 사용해보자

SpringBoot 에서 Redis를 사용해보자 Redis 란? Key-Value 구조의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오픈소스 기반의 NoSQL 인-메모리 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기 때문에 매우 빠르고 가볍다. 언제 왜 쓸까? 캐싱 관계형 DB로의 I/O 가 잦을 때 발생하는 부하를 캐싱 처리하여 해결할 수 있다. API 캐싱으로 반복적인 응답에 대한 불필요한 반복적인 통신을 줄일 수 있다. TTL 데이터 관리 사용자 인증 정보 같은 만료가 있는 데이터들을 관리하는 저장소로 활용할 수 있다. Key-Value 구조이기 때문에 대량의 데이터나, 잦은 삽입과 조회 발생 상황에서도 RDB에 비해 아주 빠르다. 요약하면 Key-Value 형식의 단순하면서도 활용이 잦은 데이터 처리나 캐싱에 사용된다고 할..

2022.07.13 게시됨

[SpringBoot] Security 적용으로 발생한 Swagger, H2 개발환경 이슈 해결하기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

Spring

[SpringBoot] Security 적용으로 발생한 Swagger, H2 개발환경 이슈 해결하기

SpringBoot 프로젝트에 SpringSecurity 를 적용해서 발생했던 사소한 문제들을 해결했던 내용을 간단하게 기록하였다! 개요 팀 프로젝트를 하면서 리액트 프론트엔드 개발 역할을 맡았으나 SpringBoot 백엔드에서의 Spring Security 를 활용한 JWT 인증,인가 구현도 맡게 되었다. 이미 프로젝트에는 Swagger API 설정을 통한 문서화나 개발/테스트를 위한 H2 데이터베이스 콘솔이 적용되어있었고 Spring Security 적용 후 이것들에 대해 어떤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. 팀원이 올려둔 깃헙 이슈를 기반으로 즉각적으로 해결하고 개선했던 기록을 남겨보게 되었다!. 문제상황1 Swagger-ui 에 인증객체 정보가 입력 파라미터로 나와요! 스웨거 3.0 버전 기준입니다. @..

2022.05.22 게시됨